2025년 4월,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전쟁 이후 미국 시장과 이커머스 업계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커머스의 발달과 코로나 이후 소비습관의 변경등으로 인해 미국 시장의 트렌드는 끊임 없이 변동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미국의 소비 및 반품 트렌드와 함께, 주목할 만한 반품 솔루션 기업인 Two Boxes를 소개해 드립니다.
1-1 Two Boxes
Two Boxes는 2022년 미국 콜로라도 덴버에서 설립된 스타트업입니다. 현재 22명의 직원이 근무 중이며, 75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의 핵심은 검품 속도와 정확도를 크게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아래 사진에 보이는 태블릿 앱을 통해 상품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반품 검수가 가능합니다. Two Boxes에 따르면 자사 서비스를 도입할 시 검품 속도가 두배 증가하며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훈련없이 빠르게 직원들이 적응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고객사의 경우 재고를 빠르게 확보할 수 있고 어떤 상품에서 반품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Two Boxes는 이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를 자사 물류센터는 물론 외부 3PL에도 공급하고 있습니다.
1-2 2025년 관세 전쟁과 반품의 관계
트럼프 행정부는 2025년 4월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는 명칭으로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145%의 고율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Wikipedia, 2025). 이에 따라 중국산 의류 가격은 평균 65%, 가죽 제품은 87%까지 상승했으며 (Budget Lab at Yale, 2025), Shein과 Temu 같은 브랜드는 가격을 최대 91%까지 인상했습니다 (New York Post, 2025).
문제는 의류처럼 대규모 계약으로 생산되는 품목은 쉽게 생산지를 옮기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 유통업체들은 반품 상품 중 재판매 가능한 제품을 정밀하게 선별해 재유통하는 전략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아마존은 관세 및 반품 처리 비용 증가로 약 10억 달러의 손실을 보고하며 반품 시스템을 전면 재정비하고 있습니다 (Business Insider, 2025).
1-3 Wardrobing
‘Wardrobing’은 미국에서 사용되는 신조어로, ‘wardrobe(옷장)’와 ‘robbing(도둑질)’을 결합한 표현입니다. 특정 목적을 위해 상품을 구매한 뒤 짧게 사용하고 반품하는 행위를 뜻합니다. Optoro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의 69%가 이 같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이 중 64%는 월 1회 이상 이러한 행위를 한다고 밝혔습니다 (Optoro, 2024).
이 같은 소비 행태는 개인주의적 문화와 심화한 빈부 격차에 영향을 받습니다. 특히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을 때 Wardrobing은 더 자주 발생한다고 분석되었습니다 (Optoro, 2024). 기업 입장에서는 의도적 사용 후 반품이 금전적 손실은 물론 브랜드 이미지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Two Boxes와 같은 고도화된 검품 솔루션이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1-4 Bracketing
미국 이커머스 업계의 또 다른 과제는 ‘Bracketing’입니다. 동일한 상품을 다양한 색상과 사이즈로 주문한 뒤 마음에 들지 않는 제품을 반품하는 소비 행태를 말합니다. ReadyCloud(2024)에 따르면 미국 내 단순 변심 반품 비율은 약 30%이며, 이 중 상당 부분이 Bracketing에서 비롯됩니다.
이 방식은 일반적인 반품보다 물량이 많고, 처리에 더 많은 리소스를 요구하기 때문에 기업에 큰 부담이 됩니다. 특히 패션 카테고리에서는 5~10개 단위의 반품이 한꺼번에 들어오기도 하며, 검품 오류 및 비용 손실 가능성도 높습니다.
2-1 급변하는 소비 트렌드,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급변하는 반품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빠른 검품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셀러가 직접 반품을 처리할 경우 업무 시간이 과도하게 소모되어 핵심 업무에 집중하기 어려워집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외부 솔루션을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반품 상품의 85%는 정상제품입니다. 15%의 불량 제품을 감별하기 위해 업무 시간을 소모하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Two Boxes는 SaaS를 외부 3PL에도 납품하는 반면, 리터니즈는 현재 자사 물류센터에만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리터니즈는 고화질 이미지 제공을 통해 사무실에서도 하자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전문 인력의 경험을 바탕으로 높은 품질의 검품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Reference Page
Budget Lab at Yale. (2025, April 15). State of U.S. Tariffs: April 15, 2025. https://budgetlab.yale.edu/research/state-us-tariffs-april-15-2025
Business Insider. (2025, May 1). Amazon took a mysterious $1 billion hit from customer returns and tariff maneuvering. https://www.businessinsider.com/amazon-billion-hit-customer-returns-tariffs-2025-5
New York Post. (2025, April 25). Shein, Temu hike prices to offset 120% Trump tariff slated to take effect next week. https://nypost.com/2025/04/25/business/shein-temu-hike-prices-to-offset-120-trump-tariff-slated-to-take-effect-next-week/
Optoro. (2024, November 19). With returns fraud & abuse on the rise, and 69% of shoppers admitting to wardrobing, with 64% doing so at least once a month. https://www.optoro.com/returns-news/optoro-launches-returns-unwrapped/[Optoro+3Optoro+3Optoro+3](https://www.optoro.com/returns-news/optoro-launches-returns-unwrapped/?utm_source=chatgp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