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소개할 미국 스타트업 Optoro는 2004년 창고에서 출발해, 2025년 현재 연 매출 500억 원을 넘는 대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Optoro는 혁신적인 역물류(reverse logistics) 솔루션을 제공해 기업들이 반품 및 과잉 재고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비용 절감과 환경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특히, AI 기반 데이터 분석과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해 반품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재고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Optoro의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은 주요 유통업체와 브랜드들의 공급망 운영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지속 가능한 소비를 촉진하는 데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Optoro가 빠른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핵심 성공 요인 3가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1: Optiturn 소프트웨어

Optiturn
출처: Optoro

 

Optoro의 핵심 경쟁력은 OptiTurn이라는 첨단 소프트웨어입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인공지능(AI)과 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해 반품 상품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고, 최적의 재판매 경로를 제안합니다.

고객사가 반품 상품을 받으면, 각 제품을 1차 검수한 뒤 고유번호를 발급해 이를 통해 모든 제품의 위치를 정확히 추적할 수 있습니다.

 

Optiturn
출처: Optoro

 

사용된 제품은 정밀한 테스트를 거치며, 고객사는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Optoro는 복잡한 반품 물류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물류 효율을 극대화하고, 불필요한 물류 이동을 줄여 반품 처리 비용을 절감합니다. 또한, 반품된 상품을 재판매하여 수익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고객사가 자체 물류 창고를 보유하고 있어도 OptiTurn을 문제없이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시간 데이터 분석으로 기업이 스마트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반품 데이터, 재고 데이터, 시장 데이터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재고 관리 최적화, 가격 책정, 마케팅 전략 수립 등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데이터 기반 예측을 통해 반품률을 줄이고 재고 회전율을 높여 기업의 수익성을 극대화합니다 (Optoro, 2016).

OptiTurn은 반품 처리 시간을 단축하고 재고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역할을 하며, 아마존, 베스트바이, 아메리칸 이글 등 대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Optoro가 시장을 선도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1-2: 지속가능한 소비 촉진 & 환경 보호 기여 – impact report

Optoro는 반품된 상품을 재활용하거나 다시 판매해 지속 가능한 소비를 촉진하고 환경 보호에 기여합니다.

반품 상품 폐기량과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면 기업은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고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도 쌓을 수 있습니다. 이는 ESG 경영을 중시하는 기업에 매력적인 요소입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폐기량을 줄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한국과 달리 미국 유통업계에서는 운송 거리가 가장 중요한 문제입니다. 국토가 좁은 한국의 경우 반품된 상품이 소비자에게 다시 전달되기까지 평균 약 332km를 이동하면 전달됩니다.

반면, 미국에서 반품된 상품이 다시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평균 운송 거리는 약 2,566km에 이릅니다. 특히 단순 개봉 상품조차 최소 650km에서 최대 1,250km를 이동해야 2차 소비자에게 전달됩니다. (SJF Ventures, 2025).

역물류
표 – 전통 역물류 체계 (출처: Sjf ventures)

 

표 – Optoro 역물류 체계 (출처: Sjf ventures)

 

반면  Optiturn을 사용하는 경우 평균 1,592km만 운반하면 다시 소비자에게 상품이 돌아갈 수 있습니다. 단순 개봉 상품만 계산하면 최소 1,280km 최대 2,480km 운반됩니다. Optiturn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상품의 평균 운반 거리를 약 40% 줄일 수 있습니다.

 

Optoro의 주장으로는 Optiturn을 도입한 후 아래와 같은 효과로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 CO2 27% 감소 (나무 123,283개를 심은 것과 같은 효과)
  • 폐기처리 되었을 824,574개 제품을 재판매 (약 3,740톤 규모)

 

1-3 Bulq, Blinq: 반품 물품 재 판매

반품된 상품은 가치가 없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리퍼비시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단순 개봉 상품은 박스만 제외하면 사용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Optoro는 2015년부터 반품 상품을 벌크 형태로 재판매하는 Bulq 서비스를 운영했었습니다. Bulq는 반품된 상품을 대량으로 묶어 B2B 형태로 판매하는 모델로, 기업 간 거래가 주를 이루었습니다. 또한, 2015년 이전인 2010년부터 Blinq라는 소비자 직접 판매(B2C) 플랫폼을 통해 반품 상품을 개별 소비자에게 판매했지만, 2021년에 서비스가 종료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업 모델을 Liquidation이라 부르며, 속된 말로는 ‘재고 땡처리’가 가장 가까운 표현입니다.

하지만 2022년부터 파레트당 가격이 오르면서 소비자 신뢰가 점차 하락했습니다.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내부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됩니다.

게다가 시장에는 이미 2011년에 창업한 Quicklotz, 2015년 설립된 UpLiquidation과 같은 쟁쟁한 경쟁자들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심지어 2023년에는 유통업계 거인 아마존까지 Amazon Bulk Liquidations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결국 Bulq는 경쟁력을 잃고 2024년경 서비스를 종료했습니다.

Bulq를 포함한 대부분의 업체는 재고를 판매해야 수익이 나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아마존처럼 규모가 큰 기업은 재고 판매를 통해 수익을 얻는 것 보다 빠른 반품 처리로 손해를 보더라도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에 따라 Bulq는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Bulq는 Blinq와 달리 공식적으로 서비스 종료를 발표하지는 않았습니다. 향후 서비스가 재개될 가능성도 있어 주목됩니다.

 

2-1 리터니즈의 검품 방식

리터니즈, 반품
출처: 리터니즈

 

Optoro의 장점이 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 이라면 리터니즈는 RMS (Return Management System)가 장점입니다. 리터니즈는 고객이 반품을 신청하면 상품을 수거한 뒤 전용 검품 센터로 입고합니다. 이후 전문 인력이 특수 제작된 검품대를 활용해 제품 상태를 점검하며, 필요한 경우 바로 양품화 작업까지 처리할 수 있습니다. 검품에 특화된 설비를 구축해 보다 빠르고 정확한 검품이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업로드되는 사진을 볼 수 있습니다. CS 담당자는 물류센터에 방문하지 않고도 검품 정보와 사진으로 제품 상태를 상세히 확인하고 빠르게 고객 응대를 할 수 있습니다.

 

리터니즈, 반품
출처: 리터니즈

 

 

2-2 강력한 B2B 친화 기능

리터니즈, 반품
출처: 리터니즈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정보는 사진 뿐이 아닙니다. 리터니즈에서는 상품이 실시간으로 어디에 위치 해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고객사의 편리한 업무를 돕습니다 또한 주문 접수가 빠르고 간편해 복잡하고 어려운 반품 업무의 부담에서 벗어나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Optoro의 핵심 기능과 리터니즈의 장점을 살펴보았습니다. 두 회사 모두 각자의 방식으로 반품 처리 프로세스를 혁신하고 있으며, 특히 리터니즈는 검품에 특화된 시스템과 실시간 정보 제공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리터니즈는 고객사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더욱 효율적인 반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것입니다.

 

Optoro. (2016). How Optoro works [Video]. Vimeo. Retrieved March 11, 2025, from https://vimeopro.com/demoduck/explainers/video/196632279

SJF Ventures. (2025). Optoro creates environmental impact model. Retrieved March 14, 2025, from https://sjfventures.com/case-study/optoro-creates-environmental-impact-model/

Share this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