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쉬인
쉬인 코리아의 한국 진출은 최근 한국 언론과 소셜 미디어에서 뜨거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008년 중국 기업가 쉬양톈이 설립한 쉬인은 초기에는 온라인에서 웨딩드레스를 판매하는 브랜드에 불과했으나 알리 테무처럼 저렴한 초저가 정책, 온라인 쉬인 배송, 브랜드만의 고유한 매력을 내세워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현재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가장 잘 알려진 글로벌 패션 기업 중 하나입니다.

출처: 쉬인
버티컬 커머스 쉬인은 쉬인 코리아를 포함하여 현재 전 세계 150개국에 패션 제품을 온라인에서 배송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약 2조 7천억원(20억 달러)의 세전 영업이익을 달성하며 H&M, Primark, Next 등을 제치고 세계 최대 규모의 패스트 패션 기업으로 자리 잡았는데요. 어떻게 쉬인은 전세계적으로 사랑받는 브랜가 될 수 있었을까요? 지금부터 성공 전략을 살펴봅니다.
✔️ 쉬인(Shein) 이란?
- 2008년 중국 광저우에서 설립된 패션 버티컬 커머스 기업
- 저렴한 가격과 트렌디한 디자인의 패션 상품 보유
1. 초저가: SPA 브랜드보다 저렴한 가격

출처: 쉬인
패션 플랫폼 쉬인은 알리 테무처럼 저렴한 가격을 내세웠습니다. 다른 SPA 브랜드보다 더 저렴한 가격대로 제품을 판매하며 경쟁력을 확보했는데요. 코어사이트 리서치(Coresight Research)에 따르면, 쉬인의 초저가 정책은 다른 패스트패션 브랜드에게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패스트패션 브랜드 중에서도 가장 저렴한 가격을 내세웠던 H&M이 쉬인의 초저가 정책에 큰 타격을 입었다고 합니다. 이렇듯, 쉬인의 제품 가격은 젊은 소비자들, 특히 가격에 민감한 세대에게 큰 매력으로 작용합니다.
✔️ H&M의 대응 방안
- 유명 디자이너 콜라보를 통해 제품 가격대를 높이고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는 전략 추진
- 유명 디자이너들과 협업하여 한정판 컬렉션을 출시를 통해 쉬인과의 차별화 의도
🕵️ 불황에도 성장하는 SPA 브랜드의 비결은? – 알아보기
2. 빠른 유행 반영
출처: 쉬인
패션계의 알리 테무인 ‘쉬인’은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을 빠르게 출시합니다. 덕분에 소비자들은 항상 새로운 스타일을 입을 수 있는데요. 버티컬 커머스 쉬인은 무려 200명의 디자이너로 구성된 거대한 팀을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쉬인 코리아를 비롯한 전 세계 패션 플랫폼에서 빠른 속도로 새로운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을 제공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자신의 취향에 맞는 옷을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3. 글로벌 진출
출처: 쉬인
알리 테무가 그랬듯이, 글로벌 진출은 기업에게 새로운 기회를 열어줍니다. 국내 시장만으로는 접근할 수 없었던 새로운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인데요. 이는 기업의 매출 증대와 시장 점유율 확대에 직결됩니다. 특히, 해외 시장은 국내 시장보다 훨씬 더 큰 규모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쉬인은 글로벌 진출과 더불어 다양한 인종과 국적의 모델을 활용함으로써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이미지를 강화하고, 특정 국가에 국한되지 않은 보편적인 매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쉬인 코리아에서는 국내 인기 배우인 김유정을 모델로 발탁했죠.
쉬인, 한국에서도 성공할 수 있을까?
출처: Openads
패션 플랫폼 쉬인 코리아는 2024년 4월 한국 전용 홈페이지 개설했는데요. 인기를 모은 알리 테무처럼, 쉬인도 한국에서 성공할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해 한 전문가는 “쉬인의 한국 진출은 국내 패션업계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수 있지만, 그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하였습니다.
쉬인의 저렴한 가격은 무신사, 지그재그, 에이블리, W컨셉 등 국내 패션 플랫폼과 SPA 브랜드에 가격 경쟁력 압박을 가중시킬 수 있지만, 쉬인의 타겟층(10~20대)과 국내 패션 플랫폼/SPA 브랜드의 주 고객층(20대 중반~30대 중반 여성)은 차이가 있기 때문인데요. 또한, 국내 소비자들이 의류 구매 시 가격보다 브랜드, 품질, 디자인 등을 더 중요시한다는 조사 결과를 언급하였습니다. (출처: 쉬인, 한국 진출 공식화…국내 파급력은)
그렇다면, 쉬인 코리아의 영향력에 대비하여 국내 패션 브랜드들이 경쟁력을 높이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국내 패션 브랜드 경쟁력 높이는 법
중국 패션 제품들의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상품은 소비자들의 인기를 얻고 있는 반면 가품 및 저품질 제품 문제, 소비자 피해 증가 등 우려되는 측면도 존재하는데요.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패션 브랜드의 대응 전략은 저렴한 가격 외에 다른 차별화 가치를 내세워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첫 번째는 빠르고 정확한 배송 서비스 구축입니다. 버티컬 커머스의 빠르고 정확한 배송 서비스는 온라인 쇼핑 경험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버티컬 커머스 상품 배송 과정에서 배송 만족도가 낮다면,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해외 플랫폼의 취약점 중 하나는 반품 처리인데요. 쉬인 배송처럼 해외 배송을 진행하는 경우, 반품 비용이 높아 판매자들의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족도 높은 배송을 위해 반품 물류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터니즈를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2. 제품의 품질 강화
출처: JTBC
두 번째는 제품 품질을 강화시키는 방법입니다. 최근 중국산 패션 제품의 품질 논란이 뜨거운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저품질, 발암 물질 검출 등의 문제 때문인데요. 품질은 브랜드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국내 패션 브랜드가 품질 강화 전략을 펼친다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3. UI/UX 앱 서비스 최적화
출처: 픽사베이
마지막으로 앱 서비스 최적화입니다. 앱 서비스를 제공할 때 사용자 인식과 경험을 형성하는 시각적 상호 작용 구성 요소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UI와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반적인 경험인 UX 모두 우수하게 구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용자 요구 사항을 이해하고 이를 가시적인 인터페이스 요소로 변환한다면,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앱 이용 경험을 제공하여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풀필먼트 서비스는 간단한 반품 처리만 지원하기 때문에 급증하는 반품 물량을 처리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수작업으로는 처리 속도가 느려지고, 실수 발생 가능성도 높아지죠. 이때 반품 처리를 자동화하여 효율성을 높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어떨까요? 쉬인 코리아와 같은 대형 커머스의 영향력에 대비하여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소비자 만족도 높이는 반품 프로세스 자동화 방법!👇🏻
👍🏻 저렴한 반품 물류 솔루션 리터니즈